ftz(3)
-
[LINUX] 리눅스 3. F.T.Z Trainer8 (시스템 해킹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)
login as/password : trainer8/player 파일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. 일반 텍스트 파일 ( cat 명령을 사용해 내용을 출력할 수 있음) 프로그램 소스 파일 (텍스트 파일이긴 하지만 cat을 사용해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니라 컴파일 과정을 거쳐 실행이 가능하도록 만든 후 사용함) [파일의 생성] * 텍스트 파일 생성 텍스트 파일 생성 방법 쉘 프롬프트 상태에서 cat > 파일이름.txt 입력 원하는 내용을 입력 ctrl + d를 누름 '
2022.05.08 -
[LINUX] 리눅스 3. F.T.Z Trainer7 (시스템 해킹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)
login as/password : trainer7/to the top 백업 : 하드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똑같이 다른 곳으로 복사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으로 백업을 할 때는 압축 명령어들이 사용 [파일의 압축] 리눅스에서 압축을 할 때 대표적인 명령어 tar gzip 파일 합치기: tar cvf 합칠파일 합칠파일들 파일 해제하기: tar xvf 해제할 파일 * cvf와 xvf에 대한 옵션 c : Create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옵션 x : eXtract 압축을 해제시키는 옵션 v : View 압축이 되거나 풀리는 과정을 출력하는 옵션 f : File 파일로서 백업을 하겠다는 옵션 tar cvf songs.tar * :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파일(*)을 songs라는 새로운 파일로 합치라는 의미를 ..
2022.05.08 -
[LINUX] 리눅스 3. F.T.Z Trainer6 (시스템 해킹을 위한 리눅스 명령어)
[ 패스워드 파일 ] 패스워드 파일 : 한 서버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모든 정보를 저장해 놓은 파일 ( : 로 구별되며, 7개의 필드로 구성 ) 첫 번째 필드 : 서버에 로그인을 할 때 사용되는 아이디(계정) 두 번째 필드 : 패스워드가 적혀있는 부분이었지만 보안의 문제로 패스워드를 없애고 x로 표현 ( 패스워드들은 /etc/shadow 파일 안에 저장 ) 세 번째 필드 :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숫자로 말함 네 번째 필드 : 사용자가 속해있는 그룹을 말함 다섯 번째 필드 : 사용자의 이름을 말함 여섯 번째 필드 :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했을 때 기본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토리를 말함 일곱 번째 필드 : 사용자가 로그인을 했을 때 실행되게 할 프로그램을 말함 trainer7의 비밀번호는 to the top
2022.05.08